*주관적인 생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이 있습니다. 일명 lol, 롤이라고 하는 유명한 게임이죠.
정확하지는 않지만 동시 접속자(일명:동접)가 약 700만 명이 넘는다고 할 정도입니다.
10대 ~ 50대까지 다양하게 게임을 즐기고 있고 서비스 한지 벌써 10년 된 게임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e-Sport 대회를 각 나라에서 선별된 팀이 올라와 전 세계 1등 팀을 가리게 됩니다. 상금도 기본이 억단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국에서 연봉 50억을 거절한 선수로 잘 알려진 Faker 이상혁 프로게이머 선수가 가장 유명하죠.
(임요환이 예전에 2억 연봉일 때도 굉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게임승리 조건은
서로의 진영을 파괴하면 이기는 간단한 룰을 가지고 있지만 그 안에 챔피언(캐릭터) 맵(지형)을 이용하거나 레벨업(성장), 아이템 선택(공격, 방어) 타이밍에 따른 스킬, 전략 등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탑(top)에 맞는 챔피언 1명, 미드(mid)에 맞는 챔피언 1명, 바텀(Bottom)에 맞는 챔피언 2명, 정글(jungle)에 맞는 챔피언 1명 총 5명이 한 팀으로 되어 상대팀과 싸우게 됩니다.
챔피언 숫자도 계속 주기적으로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간의 상성도 파악해야 합니다. 2017년도 12월 기준으로 139개라고 하니 지금은...
게임 안에서는 돈의 개념이 있어서 미니언(ai)를 마지막 타격으로 잡게 되면 일정 금액을 얻게 됩니다. 아니면 큰 몬스터(ai)를 잡아도 큰 금액을 얻습니다. 당연히 상대편 챔피언을 kill 하게 되면 돈과 킬 포인트를 얻게 됩니다.
돈으로 아이템을 살 수 있으며 작은 아이템으로 중간 아이템, 비싼 아이템을 살 수 있기 때문에 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떤 아이템을 고르냐에 따른 상대방 기술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인 이해가 어느 정도 되었다고 가정 하에
'왜 인생은 롤 같다고' 할까요?
챔피언을 고르기 전에 상대방과의 상성도 생각해야 하지만 자신이 잘하는 챔피언을 골라야 합니다. 챔피언마다 특성과 스킬이 다르기 때문에 누가 먼저 고르냐가 중요합니다.
탱커(단단한 사람 or 방어해 주는 사람), 닌자(민첩한 사람), 암살자(행동을 알 수 없는 사람), 서포터(나를 희생해서 남을 도와주는 사람), 딜러(집중 공격을 하는 사람), 정글러(돌아다니면서 돈을 벌고 팀을 도와주거나 상대팀을 괴롭히는 사람)으로 나눠어지기 때문에 선택이 중요합니다.
챔피언 다음으로 아이템 선정 또한 그 챔피언에 해당하는 추천 아이템이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아이템을 확인하면서 대응할 수 있는 아이템을 맞춰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템의 업그레이드 순서가 있기 때문에 상대방을 공략할 수 있게 빌드업을 잘해야 합니다.(모르는 경우 추천순)
게임 내 전략과 팁도 다양해서 작은 실수나 다양한 변수들이 하나 둘씩 모여서 예상치 못한 결과를 불러오기도 합니다. 상대편 미니언을 죽이지 못하면 자신의 타워가 부서지고 점점 미니언들을 감당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것을 스노우볼 효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미니언을 모았다가 같이 공격하면 상대방은 수비하기에 급급하게 되고 팀원들을 도와주지 못하거나 자신의 플레이를 못하게 되어 말리게 됩니다.

워런 버핏이 말하는 스노우볼의 효과는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주가 상승과 함께 배당금까지 더해질 경우를 표현할 때 '마치 산 정상에서 눈을 굴릴 경우에 눈덩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상황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롤을 하는 사람들은 스노우볼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했을 것이다.롤에서도 쓰이는 용어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 및 팁 - 나무위키
※기본 공격과 스킬샷 리그 오브 레전드의 평타는 커서를 적에게 갖다대었을 때 검의 모양이 되며 공격하게 된다. 평타는 타겟팅이며 적을 공격하면 회피가 불가능하며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
namu.wiki
그리고 5대 5 대결이기 때문에 여기서도 혼자만의 방식으로 플레이하는 사람과 상대방을 신경쓰지 않는 사람, 자신을 희생하고 팀원을 살리는 사람, 게임 안에서 정치하는 사람, 일부러 죽는 행동, 게임을 즐기는 사람, 한타(팀워크 타이밍)인 경우 소극적인 사람, 팀원들 사기가 낮아진 경우 멘탈을 잡아주는 사람 등 다양한 상황속에서 사람들 제각각의 심리와 행동들이 나오게 됩니다.(=현실과 별 다를 게 없고 그 사람의 성격을 얼추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롤과 인생을 표로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D
* 개인적인 의견일 뿐 태글과 의견은 감사히 받겠습니다.
게임 결과에 따라서 그래프와 수치를 통해서 통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자신의 장단점 분석, 팀원들의 데이터 분석도 가능합니다.
롤이라는 게임 안에인생을 투영시킨 것이보이지 않는 재미가 아닐까요?
롤이나 인생이나 똑같이
과거를 되돌아보고 반성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현재 상태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라이엇게임즈(LOL 개발사)는 이벤트를 통해서 기부문화를 정착하고 좋은 이미지를 쌓아오고 있습니다.
윗분은 강사님인데 중간에 조건을 걸고 롤을 하겠다고 했다가 소문이 순식간에 퍼지면서 점점 시청자수가 증가되어 인기가 많아져서 현재 유튜브 방송도 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공부가 아닌 학생들과 소통과 게임을 통해서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이 좋은 반응을 준 거 같습니다.
최근에 K-Pop과 함께 무대나 OST도 발표해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게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게임별 출시일 & 미르의 전설 2 Mobile 사전예약 (0) | 2020.08.03 |
---|---|
왕좌의 게임 Game of Thrones -Winter is Coming 모바일 게임 리뷰 (0) | 2020.07.23 |
[공유] 포트리스 배틀로얄 사전예약 (0) | 2020.07.16 |
리니지M 3주년 업데이트 사전예약 (0) | 2020.07.06 |
애니팡4 모바일게임:출석보상 이벤트와 새총 아이템 획득 후 멈춤현상 (0) | 2020.07.01 |